분홍신 (1948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홍신 (1948년 영화)은 1948년에 개봉한 영화로, 젊은 작곡가 줄리안 크래스터가 발레 레르몬토프의 공연에서 자신의 곡이 표절된 것을 알게 되면서 시작된다. 젊은 무용수 빅토리아 '비키' 페이지는 발레단의 기획자 보리스 레르몬토프에게 발탁되고, 빅토리아는 '빨간 구두'의 주역으로 캐스팅된다. 이 영화는 예술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는 빅토리아의 비극적인 선택을 그린다. 이 영화는 뛰어난 촬영 기법과 테크니컬러의 사용으로 유명하며, 1999년 영국 영화 협회에서 선정한 역대 영국 영화 9위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원작의 영화 작품 - 인어공주 (1989년 영화)
월트 디즈니에서 제작한 1989년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인어공주는 인간 세계를 동경하는 인어공주 에리얼이 인간 왕자와 사랑에 빠지는 모험을 그리며 큰 인기를 끌었고, 속편과 프리퀄도 제작되었다.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원작의 영화 작품 - 겨울왕국
겨울왕국은 월트 디즈니에서 제작한 판타지 뮤지컬 애니메이션 영화로, 얼음 마법을 가진 엘사와 동생 안나가 얼어붙은 왕국을 녹이기 위해 모험하는 이야기이며 아름다운 영상미와 감동적인 스토리, 'Let It Go' 주제곡으로 전 세계적인 흥행을 기록했다. - 모나코에서 촬영한 영화 - 오션스 트웰브
《오션스 트웰브》는 《오션스 일레븐》의 속편으로, 대니 오션 일당이 유럽에서 새로운 계획을 세우지만 '나이트 폭스'라는 적과 유로폴 형사의 추격을 받으며 복잡한 줄거리와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다. - 모나코에서 촬영한 영화 - 아이언맨 2
아이언맨 2는 2010년 개봉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로, 아이언맨인 토니 스타크가 팔라듐 중독과 새로운 적 이반 반코의 위협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다룬다.
분홍신 (1948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붉은 신발》 |
원제 | The Red Shoes |
장르 | 드라마, 멜로/로맨스 |
기반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1845년 동화 《빨간 구두》 |
감독 | 마이클 파월 에메릭 프레스버거 |
각본 | 마이클 파월 에메릭 프레스버거 |
제작 | 마이클 파월 에메릭 프레스버거 |
주연 | 안톤 월브룩 마리우스 고링 모이라 시어러 레오니드 마신 로버트 헬프만 알베르트 바서만 에스몬드 나이트 류드밀라 체리나 |
음악 | 브라이언 이스데일 |
촬영 | 잭 카디프 |
편집 | 레지날드 밀즈 |
제작사 | 디 아처스 |
배급사 | 제너럴 필름 디스트리뷰터스 이글-라이언 BCFC = 니폰시네마코퍼레이션 |
개봉일 | 1948년 9월 6일 1950년 3월 14일 |
상영 시간 | 133분 |
언어 |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
제작비 | >£505,600 |
흥행 수익 | 5백만 달러 (미국 및 캐나다 임대) |
![]() | |
스태프 | |
미술 | 하이먼 울프강 |
의상 | 도러시 딘 엘리자베스 해펜덴 |
안무 | 로버트 헬프만 레오니드 마신 |
기타 | |
BFI 컬렉션 | 영국 영화 협회 컬렉션 |
2. 줄거리
런던의 음악 학생 줄리안 크래스터는 발레 레르몬토프의 공연을 관람하던 중 자신의 곡이 표절된 것을 알게 된다.[5] 한편, 젊은 무용수 빅토리아 페이지는 발레단 기획자 보리스 레르몬토프에게 발탁된다.
줄리안은 레르몬토프에게 항의하러 갔다가 오히려 발레단의 지휘자 조수로 고용되고, 빅토리아는 안데르센 동화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발레 '빨간 구두의 발레'의 주역으로 캐스팅된다. 이 발레에서 무용수는 빨간 발레 슈즈를 통해 초인적인 춤 실력을 얻지만, 죽을 때까지 춤을 멈출 수 없게 된다.
'빨간 구두의 발레'는 큰 성공을 거두고, 빅토리아와 줄리안은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레르몬토프는 빅토리아에 대한 소유욕으로 둘의 관계를 방해하며, 줄리안에게 빅토리아와 헤어지거나 발레단을 떠나라고 한다. 결국 둘은 런던으로 돌아와 결혼하지만, 레르몬토프는 빅토리아를 잊지 못한다.
런던에서 빅토리아와 줄리안은 각자의 길을 걷는다. 줄리안은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오페라를 쓰고, 빅토리아는 발레 경력이 정체된다. 레르몬토프는 빅토리아를 설득하여 다시 '빨간 구두'를 신게 한다.
줄리안의 오페라 초연과 빅토리아의 복귀 공연 날짜가 겹치고, 줄리안은 빅토리아에게 공연을 취소하라고 한다. 예술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던 빅토리아는 발레 레르몬토프에 남기로 하고, 결국 다가오는 기차에 뛰어들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충격받은 레르몬토프는 빅토리아의 부재를 알리고, 발레단은 그녀의 빈자리에 조명을 비추며 '빨간 구두의 발레'를 공연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조연
4. 제작
파월과 프레스버거는 춤을 출 수 있는 배우가 아닌, 연기를 할 수 있는 무용수를 기용해야 한다고 결정했다.[1] 영화의 절정인 15분짜리 발레를 포함시키고, 현실적인 발레단의 모습을 만들기 위해, 로열 발레단의 많은 무용수들을 활용하여 자체 발레단을 만들었다.[2]
주인공 빅토리아 페이지 역을 캐스팅하기 위해 파월과 프레스버거는 연기도 할 수 있는 경험 많은 무용수를 찾았다.[1] 로버트 헬프만의 추천으로 스코틀랜드 발레리나 모이라 시어러가 거론되었는데, 헬프만은 영화에서 이반 볼레슬라브스키 역으로 캐스팅되었고, 핵심 발레 시퀀스의 안무가로도 임명되었다.
영화 ''분홍신''은 잭 카디프가 촬영 감독을 맡아 1947년 6월부터 파리에서 주로 촬영되었다.[1][2] 런던, 몬테카를로, 코트다쥐르에서도 로케이션 촬영이 진행되었으며,[4] 무대와 오케스트라 피트 시퀀스 등 일부는 파인우드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5]
로버트 헬프만이 영화의 발레 안무를 맡았고, 레오니드 마신은 '빨간 구두' 발레에서 자신이 맡은 구두장이 역의 안무를 직접 만들었다.[10] 브라이언 이스데일이 영화의 오리지널 음악을 작곡했는데, 특히 '빨간 구두' 발레의 음악은 영화의 분위기를 극대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10]
4. 1. 캐스팅
파월과 프레스버거는 춤을 출 수 있는 배우가 아닌, 연기를 할 수 있는 무용수를 기용해야 한다고 결정했다.[1] 영화의 절정인 15분짜리 발레를 포함시키고, 현실적인 발레단의 모습을 만들기 위해, 그들은 로열 발레단의 많은 무용수들을 활용하여 자체 발레단을 만들었다.[2]
주인공 빅토리아 페이지 역을 캐스팅하면서 파월과 프레스버거는 연기도 할 수 있는 경험 많은 무용수를 찾았다.[1] 로버트 헬프만의 추천으로 스코틀랜드 발레리나 모이라 시어러가 거론되었는데, 헬프만은 영화에서 이반 볼레슬라브스키 역으로 캐스팅되었고, 핵심 발레 시퀀스의 안무가로도 임명되었다. 헬프만은 이전에 시어러와 자신의 발레 작품인 ''고르발스의 기적''에서 함께 작업한 적이 있었다.[1] 당시 시어러는 니네트 드 발루아 아래에서 춤을 추며 사들러스 웰스 무용단에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3] 시어러는 시나리오를 읽고, 영화 배역을 맡는 것이 그녀의 무용 경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느껴 제안을 거절했다.[1] 그녀는 또한 시나리오가 발레단을 비현실적으로 묘사하며 "어떤 발레단과도 전혀 다르다"고 느꼈다.[1] 시어러는 "'분홍신'은 내가 가장 하고 싶지 않은 일이었다. 나는 그 영화에서 벗어나기 위해 1년 동안 싸웠고, 감독을 떼어낼 수 없었다."라고 회상했다.[4]
시어러가 배역을 거절한 후, 미국 발레리나 나나 골너와 에드위나 시버가 배역 오디션을 봤지만, 그들의 연기력은 파월과 프레스버거에게 만족스럽지 못했다.[1] 시어러가 마음을 바꾸고 드 발루아의 허락을 받아 배역을 수락하기 전에, 무용수가 아닌 헤이즐 코트와 앤 토드가 잠시 고려되었다.[5] 시어러는 이 곤경에 질린 드 발루아가 마침내 그녀에게 배역을 맡으라고 조언했다고 주장했다.[4] 파월은 드 발루아가 그 과정에서 "더 교묘하게 조작했다"고 번갈아 가며 말했고, 시어러가 촬영이 끝나면 발레단에 돌아갈 자리가 있을지에 대해 망설였다고 하며, 시어러가 배역을 맡을지 오랫동안 고심한 이유를 설명했다.[4]
빅토리아가 사랑에 빠지는 음악가 줄리안 크래스터 역에는 Marius Goring|마리우스 고링영어이 캐스팅되었다.[6] 고링은 당시 30대 중반으로 배역을 맡기에는 약간 나이가 많았지만, 파월과 프레스버거는 그의 "기량에 대한 신중하고 이타적인 접근 방식"에 감명을 받았다.[6] 그들은 시어러와의 감정적인 장면을 함께 잘 소화할 수 있는 "예의 바르고 섬세한 배우"라고 느껴, 빅토리아의 권위적인 발레 감독 보리스 레르몬토프 역에 Anton Walbrook|안톤 왈브루크영어를 캐스팅했다.[6]
영화에 캐스팅된 다른 주요 무용수들로는 레오니드 마신(그는 또한 ''붉은 구두 발레''에서 구두 제작자 역의 안무를 맡았다)이 무용수 그리샤 류보프 역을 맡았고,[7] 류드밀라 체리나가 무용수 이리나 보론스카야 역을 맡았다. 후자는 파월이 그녀의 독특한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캐스팅했다.[8]
4. 2. 촬영
영화 ''분홍신''은 잭 카디프가 촬영 감독을 맡아, 1947년 6월부터 파리에서 주로 촬영되었다.[1][2] 런던, 몬테카를로, 코트다쥐르에서도 로케이션 촬영이 진행되었으며,[4] 무대와 오케스트라 피트 시퀀스 등 일부는 파인우드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5]당초 촬영은 약 15주, 예산은 300000GBP로 계획되었으나,[3] 실제로는 24주, 500000GBP 이상으로 늘어났다.[12] 이에 랭크 오가니제이션의 존 데이비스는 파월과 프레스버거의 급여를 1만 파운드 삭감했다.[13]
전기 작가 마크 코넬리에 따르면 촬영은 대체로 순조로웠으며, 배우와 제작진은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6] 파월은 첫날 "우리는 전에 해본 적 없는 일들을 할 것이고, 매우 열심히 일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럴 만한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7]
영화의 중심인 ''분홍신 발레'' 시퀀스는 약 6주가 걸렸는데,[8] 파월은 이 시퀀스가 영화의 마지막 부분이라고 주장했다.[9] 발레 촬영은 라이브 공연에 익숙한 무용수들에게 어려움을 주었으며, 몇 초 분량 촬영을 위해 몇 시간을 준비해야 했다.[10] 셰어러는 이 시퀀스가 "영화적으로 너무 잘 만들어져서 1분 이상 춤을 추는 행운을 누렸다"고 회상했다.[11]
촬영이 길어지자 파월과 프레스버거는 9월에 배우와 제작진에게 2주 휴가를 약속했다.[14]
4. 3. 안무 및 음악
로버트 헬프만이 영화의 발레 안무를 맡았고, 레오니드 마신은 '빨간 구두' 발레에서 자신이 맡은 구두장이 역의 안무를 직접 만들었다.[10] 브라이언 이스데일이 영화의 오리지널 음악을 작곡했는데, 특히 '빨간 구두' 발레의 음악은 영화의 분위기를 극대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10] 이 음악의 악보는 "영화적 디자인에 맞게" 쓰였으며, 이례적인 방식으로 완성되었다.[10] 이스데일은 헬프만이 승인한 만화 그림과 스토리보드를 기반으로 영화의 핵심 발레 시퀀스에 대한 악보를 작곡했고, 이는 올바른 순서로 조립되었다.[10] 발레 시퀀스 촬영이 진행됨에 따라 손으로 그린 그림은 해당 완성된 샷으로 대체되었다.[10] 이스데일은 이 영화로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이 상을 받은 최초의 영국 영화 작곡가였다.[10]5. 분석
《분홍신 (1948년 영화)》은 예술과 삶 사이의 갈등, 영화 속 발레 시퀀스의 의미, 그리고 영화의 장르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어왔다.
예술 대 삶마이클 파월 감독은 이 영화가 "예술을 위해 죽는 것, 즉 예술은 죽을 가치가 있다는 것"을 다룬다고 말했다.[6] 그러나 영화 학자 애드리엔 맥린은 빅토리아의 죽음이 이 아이디어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한다고 지적하며, 그녀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소유당하는 듯한 모습에서 "무자비한 성격"이 "더 약하거나 조용한"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6] 줄리안과 보리스 사이에서 갈등하는 빅토리아의 모습은 예술과 삶 사이의 긴장을 보여주며, 그녀가 빨간 구두를 신고 뛰어드는 장면은 예술과 현실의 모호함을 드러낸다.[6]
''빨간 구두 발레''영화의 중심 내용인 17분 분량의 ''빨간 구두 발레'' 시퀀스는 다양한 영화 기법을 사용하여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화와 빅토리아 페이지의 개인적인 고투에 대한 "인상적인 연결"을 제공한다.[5] 발레 전체에서 빅토리아 자신의 삶에 대한 시각적인 은유와 환상적인 언급이 나타난다.[5]
전통적인 영화 발레와 달리, 이 시퀀스는 다양한 편집 기법, 클로즈업, 특수 효과를 사용하여 "춤 경험보다 더 크거나 더 특징적인 영화 경험"을 선사한다.[5]
장르《분홍신》의 장르는 단일 장르로 규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뮤지컬 영화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맥린은 전형적인 뮤지컬 영화의 요소가 부재한다고 지적한다. 프레이저는 이 영화가 비극적 결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표준적인 뮤지컬 영화가 아니며, "장르적 변형의 원형"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한다.[7] 21세기 비평가 피터 브래드쇼는 이 영화에서 공포 영화의 요소를 식별하기도 한다.[7]
5. 1. "예술 대 삶"
The Red Shoes영어의 중심 주제는 예술가와 개인적인 삶 사이의 갈등이다.[6] 마이클 파월 감독은 이 영화가 "예술을 위해 죽는 것, 즉 예술은 죽을 가치가 있다는 것"을 다룬다고 말했다.[6]그러나 영화 학자 애드리엔 맥린은 빅토리아가 죽음을 맞이하는 마지막 도약이 이 아이디어를 적절하게 나타내지 못한다고 지적한다.[6] 오히려 맥린은 빅토리아가 "그녀를 지지하기보다는 소유하려는 그녀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밀려나는 듯하다"고 말하며, 이 영화가 궁극적으로 "무자비한 성격"이 "더 약하거나 조용한"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6]
줄리안과 보리스 사이에서 갈등하는 빅토리아의 모습은 예술과 삶 사이의 긴장을 보여준다. 학자 피터 프레이저는 빅토리아가 빨간 구두를 내려다보며 자신의 페르소나를 깨닫는 순간, 그녀의 두 세계가 무너진다고 분석했다.[6] 또한, 빅토리아가 마지막에 빨간 구두를 신고 뛰어드는 장면은 예술과 현실의 모호함을 드러내며, 이는 예술적 선택이었다고 파월은 설명했다.[6]
5. 2. ''빨간 구두 발레''
The Red Shoes영어는 17분 분량의 발레 시퀀스(''빨간 구두 발레'')를 중심 내용으로 담고 있어 유명하다.[5] 이 시퀀스는 다양한 영화 기법을 사용하여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화와 주인공 빅토리아 페이지가 겪는 개인적인 고투에 대한 "인상적인 연결"을 제공한다.[5] 발레 전체에서 빅토리아 자신의 삶에 대한 시각적인 은유와 환상적인 언급이 화면에서 생생하게 나타난다.[5]예를 들어, 빅토리아가 헬프만의 캐릭터의 인간 형태로 바뀌는 부유하는 신문과 함께 춤을 추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빅토리아가 발레의 주역을 맡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 밤에 밟았던 바람에 날리는 신문을 언급하는 것이다.[5]
전통적인 영화 발레와 달리, ''빨간 구두''의 발레 시퀀스는 하나의 연속적이고 정적인 샷이 아니라 다양한 편집 기법, 클로즈업, 특수 효과를 사용한다.[5] 발레가 진행됨에 따라 시퀀스의 액션은 "무대 오른쪽에서 무대 왼쪽으로 질주하며, 화려하게 장식된 세트 조각과 번갈아 가며 빠르게 수행되는 일련의 비네트(vignette)로 이어진다. 그런 다음, 소녀의 연인 역을 맡은 로버트 헬프만이 군중에 의해 멀리 끌려가 소녀가 저주받은 빨간 구두를 신고 혼자 남겨지면, 액션은 반전되어... 무용수의 잠재 의식 속으로 들어간다."[5] 이러한 역동적인 특성과 영화 기법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이 발레 시퀀스는 "춤 경험보다 더 크거나 더 특징적인 영화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5]
영화는 안데르센의 동화 『빨간 구두』를 원작으로 한 발레의 주연으로 발탁되어 일약 스타가 된 젊은 발레리나가, 사랑과 발레 사이에서 고뇌한 끝에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기까지를 그리고 있다.
5. 3. 장르
《분홍신 (1948년 영화)》의 장르는 단일 장르로 규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비평가와 학자들 사이에서 제기되어 왔다. 일부에서는 이 영화를 뮤지컬 영화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맥린은 "다른 [뮤지컬] 영화에서 판타지적 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던 전형적인 신호들이 《분홍신》에는 부재한다"고 지적한다. 프레이저는 이 영화가 비극적이고 폭력적인 결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표준적인 뮤지컬 영화의 전형이 아니며, 뮤지컬 영화 전통에서 파생된 "장르적 변형의 원형"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주장한다.[7]21세기 비평가 피터 브래드쇼는 이 영화, 특히 중심적인 초현실적인 발레 시퀀스에서 공포 영화의 요소를 식별하며, 이를 "관객이 놀라움과 오컬트 공포의 새로운 세계로 이동하는 루이스 캐럴의 거울 표면"에 비유한다.[7]
6. 평가
《분홍신》은 개봉 당시 영화 평론가와 발레 평론가 모두에게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15]
영국에서는 파웰과 프레스버거가 "규율이 없고 전형적인 영국 영화가 아니다"라는 인식 때문에 비판을 받았지만,[15] 딜리스 파웰과 같은 일부 평론가들은 "극도의 즐거움"이자 "훌륭한 실험"이라고 칭찬했다.[15] 반면, 《The Daily Film Renter》는 파웰과 프레스버거가 "훌륭한 아이디어를 망쳤다"고 비판했다.[15]
미국에서는 초기 반응이 더 호의적이었으며, 주류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15] 영국과 미국 평론가들 사이의 주요 논쟁점은 영화의 중심이 되는 17분짜리 '빨간 구두 발레' 시퀀스의 현실성 부족에 대한 인식이었다.[15] 많은 무용 평론가들은 이 시퀀스의 인상주의적 터치가 발레의 육체적 측면을 손상시킨다고 느꼈다.[15] 하지만 《Los Angeles Times》의 필립 K. 셰이어는 영화 속 발레 연출을 칭찬했다.[15]
《분홍신》은 아카데미 시상식(Academy Award for Best Original Score)에서 음악상을 받은 최초의 영국 영화였다.[10]
시상 기관 | 부문 | 수상자 | 결과 | 비고 |
---|---|---|---|---|
아카데미상 | 작품상 | 마이클 파웰, 에머릭 프레스버거 | 후보 | [16] |
각본상 | 에머릭 프레스버거 | 후보 | ||
음악상 | 브라이언 이스데일 | 수상 | ||
미술상 | 하인 헤크로트, 아서 로슨 | 수상 | ||
편집상 | 레지날드 밀스 | 후보 | ||
BAFTA 영화상 | 영국 작품상 | 분홍신 (1948년 영화) | 후보 | |
골든 글로브상 | 음악상 | 브라이언 이스데일 | 수상 | |
전미 비평가 위원회 | 올해의 영화 10편 | 분홍신 (1948년 영화) | 수상 |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국제 그랑프리 | 분홍신 (1948년 영화) | 후보 |
6. 1. 흥행
''분홍신''은 1948년 7월 22일 런던에서 초연되었고, 1948년 9월 6일 영국에서 일반 개봉되었다. 영국 초연 당시에는 랭크 기구의 재정 문제와 이 영화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몰이해로 인해 홍보가 부족하여 저조한 수익을 올렸다.[29] 이로 인해 아처스와 랭크 사이의 관계가 악화되어 두 파트너십이 종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홍신''은 1948년 영국 박스 오피스에서 6번째로 인기 있는 영화가 되었다. 《키네마토그래프 위클리》에 따르면 1948년 영국 박스 오피스에서 '가장 큰 승자'는 《우리 생애 최고의 해》였고, 《파크 레인에서의 봄》은 최고의 영국 영화였으며, ''분홍신''은 "차점자" 중 하나였다.1948년 10월 21일 뉴욕의 비쥬 극장에서 미국 초연된 ''분홍신''은 연말까지 220.00000000000003만달러의 임대 수익을 기록했다. 1950년 11월 13일까지 총 107주 동안 상영되는 성공을 거두었고, 유니버설 픽처스는 1951년에 미국 배급을 인수했다. ''분홍신''은 500만달러가 넘는 흥행 수익을 올리며 역대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영국 영화 중 하나가 되었다.
제작자 수입은 영국에서 179900GBP, 해외에서 1111400GBP였으며, 보고된 순이익은 785700GBP였다.
1950년 3월 1일 일본에서 개봉하여 유라쿠자에서만 32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대히트를 기록했으며, 긴자의 신발 가게 앞에는 빨간 구두가 진열되기도 했다.[30]
6. 2. 비평
영화 학자 마크 코넬리는 당대의 영화 《분홍신》에 대한 비평적 반응을 해석하는 것은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에 단순한 구분이 없기 때문에 복잡한 작업"이라고 언급했다.[15] 코넬리는 그 반응이 특히 "복합적이고 혼합적"이었다고 결론 내린다.[15] 애드리안 맥클린 역시 영화가 영화 평론가와 발레 평론가 모두로부터 "혼합된" 평가를 받았다고 말한다.[15]영국에서 개봉했을 때, 이 영화는 전국 언론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는데, 특히 파웰과 프레스버거가 이 영화가 "규율이 없고 전형적인 영국 영화가 아니다"라는 인식 때문에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15] 이 영화는 영국에서 비판을 받았지만, 딜리스 파웰과 같은 일부 전국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극도의 즐거움"이자 "훌륭한 실험"이라고 평가하며 칭찬했다.[15] ''The Monthly Film Bulletin''에 글을 기고한 마리온 이임스는 시어러와 고링의 연기뿐만 아니라 음악도 칭찬했다.[15] 《The Daily Film Renter》는 파웰과 프레스버거가 "훌륭한 아이디어를 망쳤고, 그들의 호화로운 작품은 절정에서 심연 사이에서 흔들린다"고 언급하며, 논란이 많은 리뷰를 게재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Daily Mail》 독자 투표에서 《Spring in Park Lane》과 《올리버 트위스트》에 이어 올해의 세 번째 영화로 선정되었다.[15]
초기 반응은 미국에서 더 호의적이었고, 미국 예술 영화관에서 상영된 후 주류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15] 영국과 미국 평론가들 사이에서 주요 논쟁점은 발레 시퀀스와 관련하여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인식이었다.[15] 이 비판의 초점은 영화의 중심이 되는 17분짜리 발레 공연인 '빨간 구두 발레'였다. 많은 무용 평론가들은 추상적인 환각과 비키의 정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이 시퀀스의 인상주의적 터치가 발레의 육체적 측면을 손상시킨다고 느꼈다.[15] 영국 발레 평론가 캐서린 소레이 워커 역시 이 시퀀스를 폄하하며, "무대 발레의 환상에서 발레리나의 생각을 반영하는 무한하고 풍부한 공간으로의 전환"이라고 언급했다.[15] 이임스는 비슷한 비판을 가하며, 이 시퀀스의 주관적인 요소가 안무뿐만 아니라 "발레의 완전성을 손상시킨다"고 비난했다.[15] 하지만 《Los Angeles Times》의 필립 K. 셰이어는 영화 속 발레의 연출을 칭찬하며, "지금까지 모든 영화에서 전통적인 발레를 가장 야심차게, 아마도 가장 눈부시게 성공적으로 사용한 것"이라고 평가했다.[15]
6. 3. 수상
The Red Shoes영어는 아카데미 시상식(Academy Award for Best Original Score)에서 음악상을 받은 최초의 영국 영화였다.[10]시상 기관 | 부문 | 수상자 | 결과 | 비고 |
---|---|---|---|---|
아카데미상 | 작품상 | 마이클 파웰, 에머릭 프레스버거 | [16] | |
각본상 | 에머릭 프레스버거 | |||
음악상 | 브라이언 이스데일 | |||
미술상 | 하인 헤크로트, 아서 로슨 | |||
편집상 | 레지날드 밀스 | |||
BAFTA 영화상 | 영국 작품상 | 분홍신 (1948년 영화) | ||
골든 글로브상 | 음악상 | 브라이언 이스데일 | ||
전미 비평가 위원회 | 올해의 영화 10편 | 분홍신 (1948년 영화) |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국제 그랑프리 | 분홍신 (1948년 영화) |
7. 유산
이 영화는 마이클 파월과 에메릭 프레스버거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며, 1999년 영국 영화 협회에서 선정한 역대 영국 영화 9위에 올랐다. 컬트 영화이자 전형적인 댄스 영화로 자리 잡았으며, 2017년 ''타임 아웃''이 배우, 감독, 작가, 프로듀서, 평론가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역대 최고의 영국 영화 5위에 선정되었다.[26] 브라이언 드 팔마, 마틴 스코세지,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스티븐 스필버그와 같은 영화 감독들은 이 영화를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로 꼽았으며,[27] 로저 이버트는 자신의 ''위대한 영화'' 목록에 이 영화를 포함시켰다.[6]
마틴 스코세지는 장 르누아르의 영화 ''강''의 크라이테리언 컬렉션 DVD 서문에서 ''분홍신''과 ''강''을 가장 아름다운 컬러 영화 두 편으로 꼽았다.
이 영화는 특히 촬영 기법과 테크니컬러의 사용으로 유명하며, 다른 예술 작품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 1952년 영화 《불새》는 이 영화에 대한 오마주로 제작되었다.
- 1975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코러스 라인》과 1985년 영화 각색본에서 여러 등장인물들은 댄서가 되기로 결심하는 데 이 영화가 영감을 주었다고 말한다.
- 케이트 부시의 1993년 노래와 앨범 《The Red Shoes》는 이 영화에서 영감을 받았다.
- 1993년 12월 16일 게르슈윈 극장에서 초연된 뮤지컬 《분홍신》은 스티브 바튼, 마가렛 일만, 휴 파나로 등이 출연하였으나, 51번의 프리뷰 공연과 단 5번의 공연만 치르고 막을 내렸다.
- 1996년, 세인트 마틴스 프레스는 마이클 파웰과 에메릭 프레스버거가 저술한 소설 《분홍신》을 출판했다.
- 2005년, 발레 아일랜드는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에 대한 헌정 공연인 《디아길레프와 분홍신》을 제작했다.
- 2013년, 한국 싱어송라이터 아이유는 앨범 Modern Times를 발매했고, 리드 싱글 "분홍신"은 이 영화에서 영감을 얻었다.
- 2016년, 매튜 본이 안무한 발레가 런던에서 초연되었다.
- 2022년, 단편 영화 《Òran na h-Eala》는 모이라 셰어러가 《분홍신》에 출연하기로 한 결정과 그 영향을 다루었다.
참조
[1]
서적
British Cinema of The 1950s The Decline of Defe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
간행물
The Money Behind the Screen: A History of British Film Finance, 1945-1985
Edinburgh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All-Time Top-Grossers
https://archive.org/[...]
2022-07-20
[4]
웹사이트
The Red Shoes
https://collections-[...]
2024-08-13
[5]
웹사이트
The Red Shoes: Dancing for Your Life
https://www.criterio[...]
2010-07-19
[6]
뉴스
The Red Shoes (1948)
http://rogerebert.su[...]
2005-01-01
[7]
뉴스
The Red Shoes
https://www.theguard[...]
2009-12-10
[8]
뉴스
Love and Dance: Two Obsessions, One Classic Film
https://www.nytimes.[...]
2008-08-31
[9]
뉴스
Menuhin, Diana Rosamond Constance Grace Irene (nee Gould), Lady Menuhin (1912–2003)
http://www.oxforddnb[...]
2011-01
[10]
뉴스
For the record
https://www.theguard[...]
2006-10-01
[11]
뉴스
The Starry Way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12-07-11
[12]
간행물
The popular cash and culture in the postwar British cinema industry
https://archive.org/[...]
1991-Autumn
[13]
서적
Blackout : reinventing women for wartime British cinem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뉴스
Top Grossers of 1948
https://archive.org/[...]
Variety
1949-01-05
[15]
뉴스
Coproducer Explains 'Red Shoes' Success
https://www.newspape[...]
1948-12-19
[16]
웹사이트
The Red Shoes
https://nwfilm.org/f[...]
2016-12-30
[17]
웹사이트
The Red Shoes (Blu-ray)
https://www.dvdtalk.[...]
2010-07-19
[18]
뉴스
'The Red Shoes' shines anew
https://www.latimes.[...]
2009-05-17
[19]
웹사이트
Dancing to the Music of Time: ''The Red Shoes'' Restored
https://www.cinema.u[...]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
웹사이트
The Red Shoes Blu-ray: United Kingdom Special Restoration Edition
http://www.blu-ray.c[...]
[21]
뉴스
Criterion announces support for 4K UHD Blu-ray, beginning with Citizen Kane
https://arstechnica.[...]
2021-08-11
[22]
문서
backcover
https://www.amazon.c[...]
[23]
웹사이트
Diaghilev and the Red Shoes
https://www.thestage[...]
2005-11-04
[24]
웹사이트
Òran na h-Eala
https://www.imdb.com[...]
Amazon
[25]
웹사이트
Òran na h-Eala
http://film-director[...]
British Film Council
[26]
간행물
The 100 best British films
https://www.timeout.[...]
Time Out
2017-10-24
[27]
웹사이트
Five Things to Know About The Red Shoes – Michael Powell and Emeric Pressburger's Triumph Turns 70
https://www.bfi.org.[...]
2019-03-20
[28]
서적
The Hollywood Story
https://openlibrary.[...]
Wallflower Press
2024-02-12
[29]
뉴스
Love and Dance: Two Obsessions, One Classic Film
http://www.nytimes.c[...]
2016-02-07
[30]
서적
増補新版 現代世相風俗史年表 昭和20年(1945)-平成20年(2008)
河出書房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